티스토리의 경우에는 구글, 네이버 등의 포털사이트에 작성한 포스팅이 노출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본인만의 특별한 자료가 있다면 이 시간이 짧아질 수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포털사이트의 검색에 노출되기까지의 시간이 꽤나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각 포털 사이트의 검색엔진이 요구하는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사이트맵을 생성해 등록하는 방법입니다.

사이트맵은 검색 봇의 효과적인 웹페이지 크롤링을 돕는 수단으로서 검색엔진이 사전에 사이트맵을 읽어 검색 결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합니다.

 

아래내용을 참조하세요.

 

 Sitemap이란 무엇입니까?

Sitemap은 웹마스터가 크롤링에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검색 엔진에 알리는 손쉬운 방법입니다.

Sitemap의 가장 간단한 형식은 검색 엔진에서 사이트를 보다 지능적으로 크롤링할 수 있도록 각 URL에 대한 추가 메타데이터(마지막 업데이트된 날짜, 변경 빈도, 사이트의 다른 URL에 상대적인 중요도)와 함께 사이트에 대한 URL을 나열하는 XML 파일입니다.

웹크롤러는 보통 해당 사이트 및 기타 사이트의 링크에서 페이지를 검색합니다. Sitemap은 해당 데이터를 보완하여 Sitemap을 지원하는 크롤러가 해당 Sitemap에 있는 모든 URL을 선택하고 관련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들 URL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Sitemap 프로토콜을 사용하더라도 웹페이지가 반드시 검색 엔진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를 통해 웹 크롤러가 귀하의 사이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크롤링하기 위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Sitemap 0.90은 Attribution-ShareAlike Creative Commons License의 약관에 따라 제공되며 Google, Yahoo! 및 Microsoft의 지원을 비롯하여 널리 채택되고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sitemaps.org/ko/

 

사이트맵을 생성해 주는 사이트는 여러개가 있는데, 구글링을 하셔도 여러개가 나옵니다.

저는 https://www.xml-sitemaps.com/(링크) 을 이용했습니다.

 

 

 

사이트에 접속해서 해당 위치에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하고 START를 누르게 되면 사이트맵 제작을 시작합니다.

 

 

저는 121개의 포스팅이 있는 상태에서 15분정도 걸린 것 같습니다.

 

 

사이트맵 제작이 끝나면 페이지가 이동되면서 DOWNLOAD YOUR XML SITEMAP FILE버튼을 눌러 제작된 사이트맵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사이트맵이 등록된 블로그의 글쓰기 메뉴에서 비공개로 글을 써서 다운받은 xml파일을 첨부합니다.

 

 

파일 첨부 후에 에디터 타입의 HTML을 체크하고 cfile4.uf로 시작하여 .xml까지의 주소를 복사합니다.

 

 ※ 이 과정에서 티스토리의 새에디터로 글을 작성하는 경우 주소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관리자페이지에서

    콘텐츠메뉴의 설정에서 '새로운 글쓰기를 사용하지 않습니다.'로 설정을 변경해서 기존에디터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이제 사이트맵까지는 준비가 완료되었으며, 복사된 주소를 포털사이트 별로 등록을 따로 해주어야 합니다.

 

 

■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을 이용한 구글 검색 등록

 구글 서치콘솔(링크) 에 접속해서 시작하기 버튼을 누르고 구글아이디로 로그인 합니다.

 

 

 

 

URL 접두어에서 티스토리 블로그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인증확인이 끝나고 소유권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는데 'HTML 태그' 방법을 선택해 나오는 코드를 복사합니다.

코드를 복사한 뒤 티스토리 관리 페이지에 접속해서 '스킨 편집'으로 들어가 html 편집으로 들어갑니다.

 

 

HTML 코드 안에 <meta 로 시작하는 마지막 코드가 끝나는 지점에서 엔터를 눌러 행을 추가하고 복사한 코드를 붙여 넣어준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시 구글 서치 콘솔의 소유권 확인 페이지로 돌아와서 확인 버튼을 눌러 소유권을 확인합니다.

소유권이 확인됐다면 구글 서치 콘솔의 좌측 메뉴에서 Sitemaps를 클릭합니다.

 

 

'새 사이트맵 추가'에서 사이트맵 파일을 첨부하고 복사한 cfile4.uf로 시작하여 .xml까지의 주소를 입력해 제출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cfile4.uf 앞부분에 " attachment/ "를 붙여야 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 rss " 를 입력하고 제출합니다.

 

 

제출된 사이트맵에서 '성공' 상태가 뜨면 등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를 이용한 네이버 검색 등록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링크) 에 접속해서 아래에 있는 웹마스터 도구 사용하기를 클릭합니다. (네이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사이트 추가 우측부분에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하고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이트 소유확인 절차가 나오는데 구글 서치 콘솔과 동일하게 HTML 태그를 선택해서 같은 방법(티스토리 관리자 메뉴에서 스킨편집 - HTML 편집 - HTML 코드 안에 <meta 로 시작하는 마지막 코드가 끝나는 지점에서 엔터를 눌러 행을 추가하고 복사한 코드를 붙여 넣어준 후 적용 버튼을 클릭) 으로 사이트 소유를 확인하고, 추가된 사이트 주소를 클릭해서 나온 창의 왼쪽 메뉴의 '요청' 탭에서 RSS와 사이트맵 제출을 구글 서치 콘솔과 동일한 방법으로 등록합니다.

 

 

추가로 설명을 하자면 RSS 제출 페이지에서는 티스토리 주소 뒤에 rss만 붙이면 되고, 사이트맵 제출에서는 사이트맵 XML 파일에서 얻은 주소 (cfile4.uf로 시작하여 .xml까지의 주소)앞에 " attachment/ " 추가하여 입력하면 됩니다.

 

 

 

■ 빙 웹마스터도구 이용한 빙 검색 등록

 빙 웹마스터도구(링크)에 접속해서 로그인합니다. Microsoft, Google, Facebook 아이디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에 나오는 화면에서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해 사이트를 추가합니다.

 

 

빙 웹마스터에서도 구글 서치 콘솔,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와 마찬가지로 소유권 확인 절차가 진행됩니다.

소유권 확인 절차는 위와 동일하게 받은 코드를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스킨편집-HTML 에서 수정합니다.

 

 

소유권 확인이 완료되었으면 빙 웹 마스터의 좌측 메뉴에 있는 내 사이트 구성-Sitemaps 에서 위와 동일하게 사이트맵과 rss를 등록하여 제출할 수 있습니다.

 

 

 

위 작업으로 각종 포털 사이트(구글, 네이버, 빙)의 웹마스터에 등록시켜 포스팅을 검색으로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 Recent posts